경제&주식&부동산25 연평균 성장률 CAGR의 개념과 계산방법 기업실적 및 투자전략을 이야기 할때 종종 사용되는 용어 중 하나인 "연평균 성장률" CAGR의 의미와 계산 방식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CAGR의 의미 Compound Annual Growth Rate 매년 일정한 비율로 성장함을 가정하고 기간의 평균 성장률을 계산한 수치 어떤 기업이 사업 첫해 200만원의 매출을 발생시키고 이후 4년간 전년비 2배씩 균일하게 성장한다고 가정하면 3년후에는 1,600만원이 됩니다. 3년간 매해 100% 씩 성장하였으니 연간 평균 성장률은 100%가 됩니다. 연도 매출 성장율 연평균 성장률 2015 100 2016 200 100% 100% 2017 400 100% 2018 800 100% 2019 1600 100% 하지만 매해 균일하게 성장할 수는 현실적으로.. 2022. 8. 6. 퇴직연금 DB형과 DC형의 차이 오늘은 근로자라면 반드시 알아야 하는 퇴직연금 DB형과 DC형의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려합니다. 회사원이라면 반드시 알아야 하는 개념이지만 정확이 알지 못하는 경우가 더 많을 텐데요. 이번에 저도 포스팅을 하면서 개념적으로 확실해진 부분이 있으니 보시는 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먼저 퇴직연금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퇴직연금이란? 퇴직연금이란? 퇴직금을 연금 또는 일시금으로 지급받을 수 있도록 회사가 금융기관에 매년 퇴직금을 적립해두는 제도입니다. 이 퇴직연금은 DB(Defined Benefit) 확정급여형과 DC(Defined Contribution) 확정기여형으로 구분되는데요. 근로자의 선택에 따라 가입이 가능합니다. 보통 회사들은 DC형을 선택하지 않을 경우에는 기본으로 DB로 자동가입 되.. 2022. 8. 4. 22년 6월 한국 소비자 물가지수, 전년비 6% 상승 7월 5일 통계청은 6월 소비자물가지수를 108.22(2020=100)로 발표했습니다. 이 수치는 젼년동기 대비 6.0% 오른 수치로 외환위기 이후 약 24년 만에 6%대로 가장 높은 수치라고 합니다. 최근의 물가상승은 우크라이나 러시아 전쟁 영향까진 더해진 전세계적 공급망 이슈와 에너지, 원자재 상승이 전월대비 이어지며 전월의 상승폭 5.4%도 상회한 상황입니다. 아래내용은 통계청 홈페이지에서 발췌한 6월 물가지수에 대한 요약 코멘트 입니다. □ 6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전월대비 0.6%, 전년동월대비 6.0% 각각 상승 o 전월비는 전기·가스·수도는 변동 없으며, 농축수산물은 하락하였으나, 공업제품, 서비스가 상승하여 전체 0.6% 상승 o 전년동월비는 공업제품, 서비스, 농축수산물, 전기·가스·수도가 .. 2022. 7. 5. 22년 하반기 주가 전망(feat.월급쟁이 부자들, 김영익 교수) 코스피가 2300까지 하락하며 채권, 주식의 거품이 꺼지고 부동산 시장까지 침체 이야기가 나오고 있는 많은 사람들이 괴로운 22년 2분기가 지나가고 있습니다. 유튜브에서 22년 하반기 경제 시장 전반에 대한 예상을 이해하기 쉽게 정리해준 컨텐츠를 보고 내용을 간단히 정리해보았습니다. 월급쟁이 부자들 TV 7월 4일 업로드 영상으로 김영익 서강대 경제대학원 교수가 출연하여 현 시장 상황과 앞으로 시장 변화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의견주셨고 알아두면 좋을 것 같아 정리하여 공유합니다. 1. 22년 하반기 금리인상 지속, 이후 추이 예상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미국의 자이언트 스텝, 금리인상은 하반기에도 지속될 것이지만 내년 상반기 쯤에는 물가하락에 따른 금리 인하가 예상됨. 미국 소비자 물가(CPI)의 상승폭이 .. 2022. 7. 5. 이전 1 2 3 4 5 6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