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주식&부동산

연평균 성장률 CAGR의 개념과 계산방법

by dongdong's log 2022. 8. 6.
반응형

기업실적 및 투자전략을 이야기 할때 종종 사용되는 용어 중 하나인 "연평균 성장률" CAGR의 의미와 계산 방식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CAGR의 의미

Compound Annual Growth Rate
매년 일정한 비율로 성장함을 가정하고 기간의 평균 성장률을 계산한 수치 

어떤 기업이 사업 첫해 200만원의 매출을 발생시키고 이후 4년간 전년비 2배씩 균일하게 성장한다고 가정하면 3년후에는 1,600만원이 됩니다. 3년간 매해 100% 씩 성장하였으니 연간 평균 성장률은 100%가 됩니다.

연도 매출 성장율 연평균 성장률
2015 100    
2016 200 100% 100%
2017 400 100%
2018 800 100%
2019 1600 100%

하지만 매해 균일하게 성장할 수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합니다. 여기서 복리의 개념이 더해지게 됩니다. 19년의 매출은 똑같이 1600만원으로 1400만원의 매출성장을 가져왔지만 17년에 300% 급성장하고 이후 매출이 100% 이내에서 연간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보통 대부분 회사의 성장곡선이 특정 시점의 급성장 후 성장의 안정화 단계로 접어들기 때문에 아래와 유사한 모습을 보여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이때평균 성장률을 단순히 100% 300%, 25%, 60%의 단순 평균을 내면 121%로((100+300%+25+60%)/4) "균일하게" 성장했을 때의 성장률인 100%인 연평균 성장률 개념과 일치하지 않는 수치가 나오게 됩니다. 

연도 매출 성장율 연평균 성장률
2015 100    
2016 200 100% 100%
2017 800 300%
2018 1000 25%
2019 1600 60%

2.CAGR 계산방법

그렇다면 CAGR은 어떻게 계산되어야 할까요?

산출수식은(최종연도매출/최초연도매출)^(1/연도간격)-1 입니다.

 

위의 예를 기준으로 계산해보면, 100% 연평균 성장률이 계산됩니다.

즉, 해당기간동안 얼만큼 동일하게 성장했을 때 1600의 매출성장이 만들어지는지가 계산되는 것입니다.

"해당기간동안 균등하게 성장했을 때의 성장률" 개념만 머리속해 잡아두시면 CAGR을 이해하시는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