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주식&부동산

자본잠식이란, 자본잠식율 구하는 법

by dongdong's log 2022. 5. 15.
반응형

실적발표 시즌이 되면 영업손실이 크거나, 적자가 누적된 기업 실적을 이야기 할 때 '자본잠식'이라는 말은 든게 되는되요. 여기서 자본잠식은 무엇이고 재무재표상에서 어떻게 확인하면 되는지 확인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자본이란 무엇일까? 자본의 구성

자본잠식은 말 그대로 자본이 잠식되다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자본이란 무엇일까요? 자본은 자본과 잉여금으로 구성됩니다. 자본은 회사를 시작할때 가지고 시작한 돈, 즉 종자돈의 개념이며 잉여금은 회사가 영업활동을 통해 창출한 이익에서 주주 배당금을 제외한 잉여금과 주식회사라면 주식발행을 통해 발생되는 발행가와 주식액면가 차이인 주식발행초과금(자본잉영금)으로 구성되어 있습다.

 

자본잠식이란?

자본잠식이란 기업의 지속된 손실과 누적된 적자로인하여 위에 설명한 자본, 즉 기업이 영업활동을 통해 쌓아두었던 이익인 잉여금이 모두 날라가고,  사업을 시작할 때 가졌던 종자돈인 자본까지 적자와 손실이 잠식하고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 때 순자산이 자본금보다 적은 상태가 되며,  잉여금을 넘어서 자본금마저 모두 잠식하게 되면 결국 자본이 모두 사라지는고 자본총계가 마이너스가 되는 완전자본잠식 상태가 됩니다.

 

재무재표에서 자본잠식 확인하고, 자본잠식율 구하는 법

재무상태표에서 자본총계 항목과 자본금을 비교하여 자본총계가 자본금보다 적은 경우 자본잠식된 상태인데요. 자본총계가 자본금보다 적은 것은 자본 중 잉여금 부분에서 손해가 발생되어 줄어들고 있다는 것을 말합니다. 자본잠식 정도를 판단할 때 자본잠식율 지표를 참고하는데 자본잠식율은 (자본금-자본총계)/자본금으로 계산합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종자돈 3,000만원으로 시작한 치킨집이 코로나 여파로 당해 2,000만원의 영업손실을 입게 됩니다. 이때 자본총계는 1,000만원입니다. 자본잠식율은 2,000(자본금 3,000 - 자본총계 1,000) / 자본금 (3,000) 인 67%가 됩니다. 자본잠식율이 100%이상이 되면 완전자본잠식으로 판단합니다. 

 

반응형

댓글